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동화봇
- 반려견 열사병
- 티켓팅매크로
- 강아지 유기농
- 쿠팡메크로
- 신포동 맛집
- 반려견 더위
- 반려견 홀리스틱
- 서울대입구 맛집
- 강아지
- 반려견 유기농
- 반려견 종류
- 샤로수길 맛집
- 동인천 맛집
- 강아지 유기농 사료
- 국비지원 예습
- 강아지 열사병
- 강아지 홀리스틱
- 티켓팅메크로
- 홀리스틱 유기농
- 닥스훈트
- 반려견 사료등급
- 반려견
- 강아지 종류
- 강아지종류
- 샤로수길 데이트
- 부산 맛집
- 강아지 더위
- 반려견 유기농 사료
- 쿠팡매크로
- Today
- Total
목록코딩일기/Java (32)
심심한잉여의 잡동사니

DTO와 VO에 대해 같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을 했으나 이 둘의 용도차이가 있었다. 그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DTO란? 순수하게 데이터를 담아 계층간으로 전달하는 객체 로직을 갖고 있지 않은 순수한 데이터 객체이며 메소드로는 getter/setter 만을 갖는다. 여기서 getter/setter 이외의 다른 로직이 필요 없는 이유를 자세히 알아보자면, 만약 DTO가 데이터를 전달만을 위한 객체라고 했을 때 완전히 데이터 전달 용도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getter/setter로직 외의 다른 로직이 필요 없기 때문 public class UserDTO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id;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싱글톤이란,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 개수가 최대 한 개를 넘지 않도록 하는 패턴 이 인스턴스는 공유자원으로서 중심의 역할을 한다. 장점 1. 메모리 낭비 방지 : 한번의 인스턴스 생성으로 인해 낭비방지 2. 전역 인스턴스이므로,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에서 데이터 공유가 용이 3. 두번째 호출 시 객체 로딩시간이 줄어 성능 향상 주의점 멀티쓰레드 환경에서는 동시에 객체 생성 유무를 체크 -> 하나의 객체만 생성해야됨 단점 1. 싱글톤을 사용하여 여러곳에서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어서 편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영향이 커져 변경 시 다른부분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음 -> 설계에 제약이 생김 2. 초기화 시점을 제어할 수 없음 -> 멀티쓰레드에서 명시적 초기화가 필요한 경우, 쓰레딩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다..
현재 8 버전과 11버전의 자바 버전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가하고 있어 특징을 알아보려고 한다. JAVA 8 1. Lamda 식 추가 람다식 예제 ArrayList numbers = new ArrayList(); numbers.add(5); numbers.add(6); numbers.add(7); numbers.add(8); numbers.add(9); numbers.forEach( (n /*순회하는 파라메터명*/)->{ System.out.println(n); /*값을 가지고 실행될 로직*/ } ); 2. Stream 추가 스트림 예제 ArrayList numbers = new ArrayList(); numbers.add(5); numbers.add(6); numbers.add(7); numbers...

항상 듣는 HTTP와 HTTPS 간단하게 HTTP는 하나의 규약이고 HTTPS는 이 규약에 암호화과정을 넣어 도중에 도청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정도만 알고 있었기에 한번 정리를 하며 머리에 넣고자 이 글을 쓴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규약 HTML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신규약 클라이언트는 URL로 된 HTTP를 통해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이 요청을 해석하고 요청에 맞는 정보를 응답합니다. HTTP를 통해 이 행위들이 이루어집니다. 그렇다면 HTTPS는 무엇인가?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는 ..
크게 5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쓰레드 영역 PC레지스터 스택영역 네이티브 메소드 스택 공통 쓰레드 영역 메소드영역 힙 영역 쓰레드 영역은 쓰레드가 생성될 때마다 생성되는 영역이며 공통 쓰레드 영역은 쓰레드가 몇개여도 1개만 생성되는 영역 PC레지스터 : JVM명령어를 수행하는 곳 스택영역 : 메소드가 호출 될 시 이 영역에 할당되었다가 리턴되면 선입후출로 나가는 구조 힙 영역에 대한 주소값, 기본형 변수는 직접 생성된다. 네이티브 메소드 스택은 자바 외의 언어가 실행되는 영역이며 C나 C++ 같은 언어들이 실행 메소드 영역(스태틱 영역)은 클래스의 구성요소들(정적변수, 전역변수, 메소드 정보)이 저장되는 영역 힙 영역은 런타임 중 생성되는 객체들을 저장된다. (힙 영역의 주소값을 참조한 변수가 없으면 가비지..

세미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전기차 관련 뉴스 데이터를 직접 만들기보다 살아있는 실제 데이터를 가져오는것이 좋을 것 같아 네이버 검색 API를 활용해보고자 하였다. API를 사용하는 것은 처음이라 해매긴 했다. 네이버 검색 API는 블로그 검색에만 대표적으로 뼈대가 될 예제코드가 올라가져있다. 하지만 이 부분을 못보고 바로 뉴스 검색으로 들어가서 찾느라 시간을 많이 허비했다.. 이 글을 보는 사람들은 그러지 않길 바란다. 이제 블로그 검색에서 예제 코드를 가져오고 GET부분을 위 뉴스 검색으로 변경하면 좋다. 원래 파싱이 편한 XML로 가져오려고 했으나 JSON이 불필요한 코드가 덜 들어가서 JSON으로 가져오는것이 낫다고 판단하여 JSON으로 가져왔다. 필요에 따라 요청 변수를 위 URL에 파라메터로 적어주..
strip은 앞 뒤 공백을 제거하는 String의 메소드이다. String str = " hello "; System.out.println(str); // 공백있는 hello 로 출력된다. str = str.strip(); System.out.println(str);// 공백없는 hello로 출력된다. trim의 경우 '\u0020' 이하의 공백만 제거가 가능하지만 strip은 그 이상의 공백도 제거가 가능하다. EM SPACE의 경우 '\u2003' 으로 '\u0020' 보다 크기 때문에 trim으로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strip으로는 제거가 가능하므로 상황에 맞춰 사용하면 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stripLeading() 이라는 메소드는 앞의 공백만 제거하고 stripTrailing() 이라..
코딩테스트 연습 중 새로운 String 관련 함수를 알게되었다. 그건 바로 startsWith, endsWith다. 이는 boolean으로 리턴되며 함수안에 String을 넣어주면 된다. startsWith는 해당 문자열의 앞에 입력받은 문자열이 들어있는지 확인한다. endsWith는 해당 문자열의 뒤에 입력받은 문자열이 들어있는지 확인한다. contains와 비슷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포함이 아닌 문자열의 시작부터 포함되어있는지 혹은 뒤에서부터 포함되어있는지 알려주는 함수이다. 잘 이해가 안된다면 아래 사용방법에 적어둔 코드를 보면 더 이해가 쉬울 것 이다. startsWith 사용 방법은 String str = "닥스훈트동훈이"; System.out.println(str.startsWith("닥스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