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티켓팅메크로
- 신포동 맛집
- 강아지 유기농
- 반려견 열사병
- 닥스훈트
- 반려견
- 반려견 사료등급
- 강아지종류
- 강아지 열사병
- 강아지 홀리스틱
- 반려견 더위
- 강아지
- 쿠팡매크로
- 강아지 더위
- 쿠팡메크로
- 티켓팅매크로
- 홀리스틱 유기농
- 서울대입구 맛집
- 자동화봇
- 동인천 맛집
- 국비지원 예습
- 샤로수길 맛집
- 반려견 유기농
- 강아지 유기농 사료
- 부산 맛집
- 강아지 종류
- 반려견 홀리스틱
- 샤로수길 데이트
- 반려견 유기농 사료
- 반려견 종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9)
심심한잉여의 잡동사니
SFTP(Secyre File Tarnsfer protocol) - SSH와 똑같이 전송 시 암호화를 하여 데이터를 FTP와 같이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사용하는 포트는 FTP포트와 같이 21번 포트가 아닌 SSH와 동일한 22번 포트를 사용하며 SSF 접속 계정으로 로그인 할 수 있는 FTP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도 접속은 SSH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FTP Client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한다. 일반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엔 SFTP는 큰 메리트가 없어보인다. 다만, 사용자가 root인 경우엔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며 LinuxServer 버전들의 특성상 스크립트 명령어들은 필수적이며, 파일을 알아보는데에도 명령어를 사용한다. 사용법 WINDOW..
스트림이란 자바 8버전에서부터 추가 된 람다를 활용한 기술 자바8 이전에는 배열 또는 컬렉션을 다루는 방법으로 for, foreach를 사용하며 요소 하나씩다루는 방법을 사용했다. 간단한 경우라면 크게 상관 없지만 로직이 복잡해질수록 코드의 양이 많아져 여러 로직이 섞이게 되고, 메소드를 나눌 경우 루프를 여러번 도는 경우가 발생한다. 스트림은 '흐름'이라는 뜻으로 데이터의 흐름을 뜻한다. 배열 또는 컬렉션 인스턴스에 함수 여러개를 조합해서 원하는 결과를 필터링 하고 가공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람다를 이용해서 코드의 양을 줄이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즉, 배열과 컬렉션을 함수형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병렬처리(멀티 쓰레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작업을 둘 이상의 ..
스프링에서 말하는 빈(bean)이란 Spring IoC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를 빈(Bean)이라 부른다. 우리가 기존에 Java를배우면서 Class를 생성하고 new를 입력하여 원하는객체를 직접 생성한 후 사용을 했었으나 Spring에서는 직접enw를이용하여 생성하는 객체가 아니라 Spring에 의하여 관리당하는 자바 객체를 사용한다. 이렇게 Spring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자바 객체를 Bean이라고 한다. 자바에는 어노테이션이라는 기능이 있다. 사전상으로는 주석이란 뜻이지만 Java에서는 주석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어노테이션은 자바 소스 코드에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의 일종이며 소스코드에 추가하면 단순주석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닌 특별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Jav..
스프링팀에서 필드주입(field injection) 대신 생성자 주입(Constructor based injection)을 권장헀다. 이유는 편리하다는 것 이외에 장점이 없었기 때문이다. @Autowired 를 통해 필드주입을 하는 방법을 배웠으나 회사에 와보니 해당 어노테이션 및 필드주입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어디에서 의존성 주입을 하는지 궁금해져서 어노테이션들을 다 확인 한 결과 @RequiredArgsConstructor 라는 어노테이션과 생성자 주입을 알게되었다. 생성자 주입을 하게 될 경우 1. 순환 참조 방지 2. 테스트 코드 작성 용이 3. 코드 악취 제거 4. 객체 변이 방지 라는 장점을 볼 수 있다. // 생성자 주입 @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
회사에서 아이프레임을 통해 프로젝트를 보여주고 있는데 로우코드 기반으로 만든 화면은 다른 탭 눌렀다가 눌러도 문제 없이 그대로를 유지하는데 자바로 만든 화면은 다른탭을 눌렀다가 다시 해당 탭을 들어가면 다시 고쳐져서 조회하던 내용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에 대해 사수분께 여쭤보니 SSR과 CSR의 차이가 있었다고 했다. 필자에게는 생소한 용어였기 때문에 검색을 하고 정리를 해본다. SSR이란 Server Side Rendering의 약자 말 그대로 서버쪽에서 렌더링 준비를 끝마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위 그림은 SSR 단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1. USER가 웹 사이트에 요청을 보낸다. 2. 서버는 즉시 렌더링이 가능한 HTML파일을 생성한다.(리소스 체크, 컴파일 후 완성된 HTML 컨텐츠로 ..
브라우저(크롬)에 URL을 입력하면 어떤일이 벌어지나요? 최근에 많이 질문받는 면접 질문이라고 생각되어 포스팅을 한번 해보려고 한다. "브라우저에 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떤일이 벌어지나요?"와 같은 질문을 받을 수도 있다.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면 1. 브라우저 주소창에 google.com을 입력 2. 브라우저가 google.com의 IP주소를 찾기 위해 캐시에서 DNS 기록을 확인 3. 만약 요청한 URL이 캐시에 없다면 ISP의 DNS 서버가 DNS 쿼리로 google.com을 호스팅하는 서버의 IP주소를 찾는다. 4. 브라우저가 해당 서버와 TCP 연결을 시작한다. 5.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낸다. 6.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낸다. 7. 서버가 HTTP 응답을 보..
.scrollLock { overflow: hidden; touch-action: none; } 해당 CSS를 추가 하여 스크롤 혹은 터치를 막는 클래스를 만든다. $('body').toggleClass('scrollLock') 제이쿼리를 통해 toggleClass를 활용 할 것이다. 해당 메소드를 사용하게 되면 클래스가 있다면 없애고 없다면 만드는 유용한 기능이다. 이를 통해 scrollLock 클래스를 제어하면 된다. 필자는 body에 해당 toggle클래스를 적용하여 본문의 스크롤을 잠가 팝업 시 밖에 있는 화면만 스크롤 안되게 막았었다.
//특수문자가 속해있는지 확인하는 정규식 let reg = /[\{\}\[\]\/?.,;:|\)*~`!^\-_+@\#$%&\\\=\(\'\"]/g; //영어,한글,숫자를 제외한 다른 문자가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정규식 let reg2 = /[^\w\sㄱ-힣()0-9 ]/g; 특수문자가 들어간 문자열을 체크하는 정규식 if(reg.test(obj)){ console.log('특수문자가 들어있습니다.'); } if(reg2.test(obj)){ console.log('특수문자가 들어있습니다.'); } 위 예시와 같이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