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반려견 홀리스틱
- 국비지원 예습
- 강아지 홀리스틱
- 강아지종류
- 샤로수길 데이트
- 반려견 유기농
- 반려견 사료등급
- 부산 맛집
- 홀리스틱 유기농
- 강아지
- 티켓팅매크로
- 티켓팅메크로
- 닥스훈트
- 강아지 종류
- 반려견
- 쿠팡메크로
- 자동화봇
- 반려견 종류
- 강아지 유기농
- 강아지 열사병
- 반려견 열사병
- 강아지 더위
- 반려견 유기농 사료
- 서울대입구 맛집
- 강아지 유기농 사료
- 반려견 더위
- 동인천 맛집
- 신포동 맛집
- 쿠팡매크로
- 샤로수길 맛집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9)
심심한잉여의 잡동사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sa7I/btrwKFXHAjy/KAK7q4yMAs8mBKQYK02EM1/img.png)
필터(Filter)란? 디스패처 서블릿에 요청이 전달되기 전/후에 URI패턴에 맞는 모든 요청에 대해 부가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디스패처서블릿은 스프링의 가장 앞단에 존재하는 프론트 컨트롤러로서 필터는 스프링 범위 밖에서 처리가 되는 것 즉, 스프링 컨테이너가 아닌 톰캣과 같은 웹 컨테이너에서 관리 되는 것, 디스패처 서블릿 전/후에 처리하는 것 필터의 메소드 1. init 메소드 - init메소드는 필터 객체를 초기화하고 서비스에 추가하기 위한 메소드, 웹 컨테이너가 1회 init 메소드를 호출하여 필터 객체를 초기화하면 이후의 요청들은 doFilter를 통해 처리된다. 2. doFilter 메소드 - doFilter메소드는 URI패턴에 맞는 모든 HTTP 요청이 디스패처 서블릿으로..
싱글톤이란,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 개수가 최대 한 개를 넘지 않도록 하는 패턴 이 인스턴스는 공유자원으로서 중심의 역할을 한다. 장점 1. 메모리 낭비 방지 : 한번의 인스턴스 생성으로 인해 낭비방지 2. 전역 인스턴스이므로,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에서 데이터 공유가 용이 3. 두번째 호출 시 객체 로딩시간이 줄어 성능 향상 주의점 멀티쓰레드 환경에서는 동시에 객체 생성 유무를 체크 -> 하나의 객체만 생성해야됨 단점 1. 싱글톤을 사용하여 여러곳에서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어서 편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영향이 커져 변경 시 다른부분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음 -> 설계에 제약이 생김 2. 초기화 시점을 제어할 수 없음 -> 멀티쓰레드에서 명시적 초기화가 필요한 경우, 쓰레딩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다..
현재 8 버전과 11버전의 자바 버전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가하고 있어 특징을 알아보려고 한다. JAVA 8 1. Lamda 식 추가 람다식 예제 ArrayList numbers = new ArrayList(); numbers.add(5); numbers.add(6); numbers.add(7); numbers.add(8); numbers.add(9); numbers.forEach( (n /*순회하는 파라메터명*/)->{ System.out.println(n); /*값을 가지고 실행될 로직*/ } ); 2. Stream 추가 스트림 예제 ArrayList numbers = new ArrayList(); numbers.add(5); numbers.add(6); numbers.add(7); numbers...
항상 REST API에 대해서 질문 혹은 우대가 많아 알아보기로 했다. 분명 코딩을 하며 항상 사용하며 대략적으로는 이해는 했으나 정의를 해보지않아 머리속에 그려지지 않았으니 이 시간을 가지며 머리에 그려보도록 하자. REST란?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정보를 주고 받는 것 즉, 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메소드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를 적용하는 것을 뜻한다. HTTP Method는 무엇이 있는가? 대표적으로는 이 4가지가 있다. GET : Read POST : Create PUT : Update DELETE : Delete 각각 CRUD를 위와 같이 나누고 있다. REST의 장단점 장점 : - HTTP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여 REST API사용을 위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K4vf/btrvMIhpaq6/dVPjSWYykSSbpcuyJ2wTc1/img.png)
항상 듣는 HTTP와 HTTPS 간단하게 HTTP는 하나의 규약이고 HTTPS는 이 규약에 암호화과정을 넣어 도중에 도청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정도만 알고 있었기에 한번 정리를 하며 머리에 넣고자 이 글을 쓴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규약 HTML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신규약 클라이언트는 URL로 된 HTTP를 통해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이 요청을 해석하고 요청에 맞는 정보를 응답합니다. HTTP를 통해 이 행위들이 이루어집니다. 그렇다면 HTTPS는 무엇인가?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는 ..
크게 5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쓰레드 영역 PC레지스터 스택영역 네이티브 메소드 스택 공통 쓰레드 영역 메소드영역 힙 영역 쓰레드 영역은 쓰레드가 생성될 때마다 생성되는 영역이며 공통 쓰레드 영역은 쓰레드가 몇개여도 1개만 생성되는 영역 PC레지스터 : JVM명령어를 수행하는 곳 스택영역 : 메소드가 호출 될 시 이 영역에 할당되었다가 리턴되면 선입후출로 나가는 구조 힙 영역에 대한 주소값, 기본형 변수는 직접 생성된다. 네이티브 메소드 스택은 자바 외의 언어가 실행되는 영역이며 C나 C++ 같은 언어들이 실행 메소드 영역(스태틱 영역)은 클래스의 구성요소들(정적변수, 전역변수, 메소드 정보)이 저장되는 영역 힙 영역은 런타임 중 생성되는 객체들을 저장된다. (힙 영역의 주소값을 참조한 변수가 없으면 가비지..
면접 대비 CS공부 중 좋은 객체지향의 설계 5가지를 알게 되었다. 이를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알았더라면 더 좋았을텐데... 좀 아쉬운 부분이였다. 다음에는 이를 숙지하여 보다 좋은 객체지향프로젝트를 만들고자 한다. 객체 지향이란 무엇인지 이를 극대화 하는 방법으로 이렇게 하는게 좋다 라는걸 깨닫게 되었다. 좋은 객체 지향의 설계 5가지 S, O, L, I, D 솔리드 S : SRP 단일 책임의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기능)만 가져야한다. -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코드를 변경하는데 SQL 코드부터 시작해서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바꾸면 잘 따르지 못한 것 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