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닥스훈트
- 강아지종류
- 샤로수길 데이트
- 신포동 맛집
- 반려견
- 강아지 홀리스틱
- 강아지 종류
- 티켓팅매크로
- 쿠팡메크로
- 부산 맛집
- 샤로수길 맛집
- 반려견 유기농
- 자동화봇
- 홀리스틱 유기농
- 반려견 종류
- 강아지 더위
- 국비지원 예습
- 강아지 열사병
- 쿠팡매크로
- 서울대입구 맛집
- 반려견 더위
- 강아지 유기농
- 강아지
- 반려견 열사병
- 반려견 유기농 사료
- 강아지 유기농 사료
- 동인천 맛집
- 반려견 홀리스틱
- 반려견 사료등급
- 티켓팅메크로
- Today
- Total
심심한잉여의 잡동사니
[Spring]스프링 MVC 프로젝트 구조의 이해 본문
1. 웹 브라우저의 요청(Request)이 DispatcherServlet 인스턴스로 송신된다.
DispatcherServlet 이 궁금하다면 클릭
2. RequestURL 과 Request 컨트롤러의 맵핑을 관리하는 HanadlerMapping 인스턴스와
DispatcherServlet 인스턴스를 참조하여 HandlerMapping 인스턴스로부터 반환된
Controller로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3. 파라미터가 전달된 Controller 는 필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호출하여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4. 비즈니스 로직(Service <-> DAO <-> Database) 을 통해 일련의 작업을 처리 후 Controller 에 결과를 리턴한다.
5. Controller 에서 처리 결과(모델)와 이동할 View 정보를 ModeAndView 객체에 담아
DispatcherServlet에 반환한다.
(모델과 View 는 스프링 MVC가 제공하는 ModeAndView 인스턴스로 취급된다)
6. DispatcherServlet 인스턴스는 View 의 실체를 ViewResolver 인스턴스에 확인한다.
(Controller 인스턴스로부터 반환된 View 는 논리 정보이기 때문이다)
DispatcherServlet이 요청을 컨트롤러에서 찾을 수 없다면 "wepapp/resources" 에서 찾게된다.
따라서 해당 폴더에 많은 양의 리소스가 있다면 자원이 낭비가 될 수 있으니 static 성격의 외부 자원들은 다른 폴더에 넣어 사용하는것이 효율이 더 좋다고 한다.
'코딩일기 > Spring&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의존성 주입 @RequiredArgsConstructor (0) | 2022.09.06 |
---|---|
[Maven&Gradle]메이븐(Maven)과 그래들(Gradle) (0) | 2022.03.27 |
[Spring]필터(Filter) 와 인터셉터(Interceptor)차이 및 용도 (0) | 2022.03.21 |
REST, REST API, RESTful 이란? (0) | 2022.03.13 |
[Spring]좋은 객체 지향의 설계 5가지 SOLID (0) | 2022.03.10 |